본문 바로가기

임상병리

간 - Liver function

간 기능 장애: 간질환이나 간 손상이 있는 동물들은 간기능 장애의 검사결과들(BUN 감소, total bilirubin 증가)과 그와 관련된 증상(황달)들이 나타날 수 있다. 간 기능 저하는 간의 70~75%를 잃지 않아도 위의 증상들을 나타낸다. 간 기능 저하(dysfunction)은 간부전(liver failure)과는 다르다. 예를들어 PSS에서는 BUN이 낮고 담즙산은 높지만 간부전은 아니다. 

 

간부전: 간부전은 간의 70~75%이 망가져서 간 기능장애에 의한 임상증상 (간성 뇌증, 광과민, 지혈장애)을 나타내는 것이다. 간 부전은 만성 간염, 구리 축적, 약물 (자일리톨, zonisamide 등), 독성물질, 식물독성, 버섯, 전염성 물질 등등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.

 

간 기능 장애는 다음과 같은 현상으로 나타난다.

1. 빌리루빈, 담즙산의 흡수와 배출 감소

- total bilirubin 증가

- bile acid 증가 (간기능 장애에서 bilirubin보다 더 많이 이용된다.)

 

2. 암모니아의 흡수와 요소로 전환 감소

- 암모니아 농도 증가, 요에서 ammonium biurate crystal 형성 가능

- Urea nitrogen 농도 감소

 

3. 간의 합성 능력 감소

- 지방 대사 변화: 콜레스테롤 감소, 적혈구 막 결함 (poikilocyte)

- 당 항상성 변화: 저혈당이 많이 나타남

- 단백질 합성 변화: 알부민, transferrin, acute phase protein 감소 (전신 염증에서도 낮게 나타날 수 있다), 지혈요소 합성 감소

- 면역력 감소: 독성 물질의 제거가 감소된다.

 

어떤 연구에서는 간 부전에서 urea, glucose, albumin의 감소보다 protein C, antithrombin, cholesterol의 수치가 더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. 하지만 이것은 간기능과 관계없이 낮을 수 있어서 간 기능의 지표로 우선되게 이용되지 않는다. 간 세포 손상이 없다면 간 부전에서 ALT, AST 같은 유출 효소들은 정상으로 나올 수 있다. BIlirubin은 간 기능장애나 간 부전 보다 용혈성 빈혈이나 담즙 정체를 아는데에 이용된다.

 

간기능의 평가는 암모니아와 담즙산(bile acid)로 평가한다. 

 

'임상병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간 지표들 표 정리  (0) 2022.05.17
간 - Cholestasis  (0) 2022.05.12
간 - Liver injury  (0) 2022.05.12
간 - 생리 (초간단)  (0) 2022.05.11
신장 - Creatinine  (0) 2022.05.11